(ㄴ)

1. 내구성(Durability)
콘크리트가 설계조건 하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열화(劣化)가 적고, 소요의 사용 기간 중 요구되는 성능의 수준을 지속시킬 수 있는 성질

(ㄷ)

 

1. 단위량 (Quantity of material per unit volume of concrete)
콘크리트 1㎥를 만들 때 쓰이는 각 재료의 양으로 단위시멘트량(C), 단위수량(W), 단위골재량, 단위잔골재량(S), 단위굵은골재량(G), 단위AE제량 등과 같이 사용된다.

 

2. 드라이몰탈( Dry Ready Mixed Mortar) )
건설현장에서 번거로운 수작업을 거쳐야만 하는 재래식 시공을 공장에서 시멘트, 건조모래, 혼화재 및 특성개선제등을 용도에 맞게 제조된 것으로 시공현장에서 물만 부어 사용할 수 있는 제품. 제품의 용도는 미장용, 조적용, 바닥용, 뿜칠미장용이 있다.

 

(ㄹ)

 

1.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콘크리트 제조설비를 갖춘 공장에서 시멘트, 골재, 물 등을 믹서로 혼합하여 굳지 않은 상태로 구입자에게 운반차로 배달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를 말한다.

 

2. 레이턴스(Laitance)
블리딩으로 인하여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표면에 떠올라서 가라앉은 물질로서 시멘트나 골재 중의 미립자로 되어 있다. 이는 콘크리트 타설 후, 표면에서 생기는 얇은 껍질과 같은 또는 분과 같은 미세한 물질이다.

 

(ㅁ)

 

1. 매스콘크리트(Mass concrete)
부재 또는 구조물의 치수가 커서 시멘트의 수화열로 인한 온도의 상승 및 하강에 따른 콘크리트의 과도한 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시공해야 하는 콘크리트

 

2. 메이슨리 시멘트 (Masonry cement)
포틀랜드 클링커에 석회석, 돌로마이트, 소석회, 미분슬래그, 석고, 공기연행제등의 혼합재료를 섞어서 만든 시멘트가 메이슨리 시멘트이다. 이는 주로 벽돌이나 시멘트 블록 또는 석재 등을 쌓을 때 접합용으로 사용된다.

 

3. 모르타르(Mortar)
시멘트, 잔골재, 물 및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혼화재료를 구성재료로 하여, 이들을 비벼서 만든 것

 

4. 물-결합재비 (Water binder ratio)
콘크리트에 있어서 플라이애시, 슬래그 미분말 또는 기타의 혼화재를 사용하여 비빈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에서 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에 있다고 보았을 때 풀(paste) 속에 있는 물과 시멘트 및 플라이애시, 기타 혼화재와의 중량비( 기호 : W/B)

 

5. 물-시멘트비 (Water cement ratio)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에서 골재가 표면건조포화상태에 있다고 보았을 때 시멘트풀 속에 있는 물과 시멘트의 중량비( 기호 : W/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