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경영

SAMPYO CEMENT환경

환경을 생각하고 자연 보존에 앞장서온 삼표시멘트

환경을 생각하고 자연 보존에 앞장서온 삼표시멘트는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집진 설비와 폐수정화 시설 등 첨단 환경 설비를 갖추는 등 ‘환경경영’을 펼치고 있습니다.
지난 1994년에는 기존 대형 전기집진기를 최첨단 여과식집진기로 교체하였고 1996년에는 업계 최초로 ISO 14001 환경인증과 슬래그시멘트에 대한 환경 마크를 획득하였으며, 1998년에는 녹색에너지 기업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환경친화적인 기업임을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공장 환경 시설 현황

대기 방지 시설 현황
전기집진기대형 여과집진기일반 여과집진기합계
99344362
비산먼지 방지 시설
진공청소차진공펌프카살수차자동세륜장
4354
폐수발생 및 처리
폐수발생공장폐수발생량폐수처리방법폐수방류량
공업용수 정수처리800톤/일공정 재이용ZERO

공해방지시설 투자현황

연도투자금액
(백만원)
환경부문투자비율비고
’61-‘95 52,968 -
1996 6,103 22%
1997 5,622 23%
1998 2,547 17%
1999 4,837 68%
2000 5,828 47%
2001 3,579 53%
2002 5,883 39%
2003 6,996 25%
2004 9,704 31%
2005 9,623 22%
2006 3,476 9%
2007 6,602 13%
2008 4,878 42%
2009 3,803 21%
2010 2,094 17%
2011 2,333 25%
2012 2,037 11%
2013 2,285 20%
2014 3,000 33%
합계 144,198
설비명설계용량
(㎥/분)
투자년도투자금액
(백만원)
비고
#5-1 R/M E.P3,6701994562
#2-1 R/M E.P4,50019963,100
#2-2 DRYER E.P4,500
#3-1 R/M E.P4,30019972,154
#4 R/M E.P7,50019992,500
#7 R/M E.P20,00020046,615
#6 R/M E.P20,00020056,440
#1 R/M E.P4,50020074,0002기통합
#5 R/M E.P7,50020153,732
투자금액 합계29,103 백만원
※ 7R/M E.P 2004. 1월, 6R/M E.P, 2005. 1월 개조 : 132억원 투자
     1호, R/M E.P, 2007. 2월 개조 : 40억원 투자

대기 (Monitoring System)

굴뚝 TMS(Tale-Monitoring System) 운영
굴뚝 TMS System

공장의 대형 굴뚝에 설치된 자동측정기를 통하여 오염물질의 배출농도를 24시간 연속적으로 상시 측정하여, 관제센타에 전송하는 SYSTEM

설비현황

- 측정위치 : 소성로 및 쿨러 대형 굴뚝 17개소
- 측정항목 : 먼지, NOx, O2, 유량, HCI
- Data전송 : 5분 및 30분 평균자료 전송

자료전송 기관 및 활용
구분자료전송활용비고
외부- 관제센타(환경관리공단)
- 강원도청, 환경부
- 배출 부과금 부과
- 사업장 지도점검
자체- 환경안전팀
- 생산팀, 운전판넬
- 생산설비 안정적 운전
- 오염물질 배출 최소화

기상관측장비 운영

관측항목   풍향, 풍속, 대기온도, 습도, 강우량
Data전송   5초 간격
자료관리   5분, 1시간, 1일 평균자료
활 용
- 풍향, 풍속, 습도에 따른 비산먼지 발생원 작업관리
- 대기 기온역전시 오염물질 정체 예방
- 동절기 세륜장 및 하절기 가동대책 수립

공장 감시 Monitor 운영

목 적
공장 STACK 및 공정의 비산먼지 발생시 발생부서에서 즉시 통보하여 이상상황에 대한 신속한 조치

기 능
카메라 360도 회전 및 ZOOM 기능(굴뚝 아지랑이 식별 가능)

대기 시설별 법규치 및 배출현황

항목대상시설배출현황(먼지:㎎/S㎥, NOx:ppm)
시설구분방지시설수량법규치공장기준배출농도
먼지(Dust)소성시설대형여과집진기91572-5
냉각시설전기집진기730125-15
기타시설여과집진기3353092-5
질소산화물(NOx)소성시설SNCR7270250200-300

환경 관리 현황

분야현황비고
대 기 -종별구분 : 대기1종 사업장
-배출시설 : 소성로 7기
-방지시설 : 전기집진기 9, 여과집진기 344
대기TMS 17기 설치
[측정항목 : 먼지, NOx, HCI, 유량, 온도]
수 질 -종별구분 : 수질 5종 사업장
-배출시설 : 정수시설[20,000톤/일]
-방지시설 : 침전조[1,600톤/일]
폐수 전량 재이용 SYSTEM
폐기물 -발 생 량 : 7,000톤/년
-폐기물명 : 폐내화물, 폐고무,폐유 등
-재 활 용 : 85%
-위탁처리 : 15%
화학사고 예방관리 계획

폐기물 자원화 개요

삼표시멘트 삼척공장은 폐기물을 자원화 하여 부원료 및 연료의 일부를 대체함으로써 신규 수익창출 및 국가 에너지 환경 정책에도 기여하고 있다.
삼표시멘트에서 폐기물 자원화 사업은 크게 두가지로 분야로 나누어 추진하고 있다.
첫째, 각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무기성 오니, 스라그, 연소재, 폐주물사, 폐흡착제 등을 주원료인 석회석 이외에 부원료인 점토, 철광석, 규석 등으로 대체하고 있고, 둘째, 폐기물 일정 열량을 갖고 있는 액상 및 고상의 가연성 폐기물을 유연탄 및 B-C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시멘트제조 산업은 자연광물을 원.부원료로 사용하며 반도체 및 제철산업, 발전소등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어 원료로 재활용하며, 연간 폐기물 자원화량은 약 50만톤 이며, 이는 전체 부원료의 30%를 대체하고 있다.
또한 벙커C유를 재생연료인 정제유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폐타이어 및 가연성 폐기물을 연료화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유연탄을 대체하는 효과를 가진다.

자원화 목적 및 기대효과

폐기물 안정적 처리를 통한 환경오염 방지
산업폐기물중의 유해물질이 시멘트 소성로에서 완전 분해 및 흡수

천연자원 대체 및 환경보호
폐기물을 원료로 이용하므로써 천연자원 및 환경보호
폐타이어, 폐유등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여 연료 대체

시멘트 생산 단가 절감으로 국가에너지 정책에 기여
천연자원보다 저렴하게 원료/연료를 확보

유해물질 제거 내역

중금속 제거
- 소성공정시 반제품인 크링커가 액상(Liquid Phase)을 형성
- 폐기물(대체연료) 연소시 발생되는 미량의 중금속을 광물결합 흡착 → 금속산화물(중금속)은 크링커에 광물결합하여 배출

황산화물(SOx) 제거
- SO2의 경우 시멘트 예열기(Preheater)가 탈황의 최적 조건 (약 850℃, Ca/mol비가 높을수록 탈황율이 증가)
- Kiln사용 연료중의 SO2는 Kiln 배기가스와 함께 이동 → 예열기에서 원료에 흡수
- Pre-calciner 사용 연료중의 SO2는 예열기에서 원료에 흡수 → SOx는 휘발되지 못하고 CaSO4, K2SO4등의 형태로 크링커로 배출

향후 추진방향

소성로를 이용한 자원화 확대방안 강구
시멘트 소성로 자원화에 대한 법적사항 보완

폐기물 자원화 현황

01 원·부원료 및 폐기물 성상
구분품명주요 화학성분(%)비고
CaCO3Al2O3SiO2Fe2O3
주원료석회석05261
석회슬러지48132석회석 대체품
부원료고령토218638
연소재527535고령도 대체품
철광석141560
제강슬러지154584철광석 대체품
02 폐기물 연료화
품명발열량(㎉/㎏)비고
유 연 탄6,000
폐타이어8,000유연탄 대체품(Chip Tire)
합성수지5,000유연탄 대체품
대체연료유5,000대체품(폐유 정제 제품)
03 원·연료 자원화 현황
구분항목자원화 현황
원 료석회석석회슬러지
점토/규석폐열경화수지, 연소재, 재생주물사
철광석혼합철
연 료유연탄폐합성수지, 타이어칩, 타이어건류, 재생연료유
B-C유재생연료유
석고류석고탈황석고, 중화석고, 화학석고
혼합재슬래그수쇄슬래그
세부사용현황 : 폐기물정보공개

자원화 절차

구분검토사항
배출업체 현황파악 - 업체현황
- 폐기물 성상 및 발생량
SAMPLE 분석 - 시멘트 원/부원료 유사성 확인
- 화학조성 및 열량 확인
공정검토 - 사용공정 선정
- 공정영향 및 사용 용이성 검토
- 제품 품질영향 검토
- 시설투자 및 경제성 검토
환경성 검토 - 폐기물 성적서 확인
- 중금속 등 유해인자 확인 : 사용가능 판단시 공인시험기관 분석 의뢰
- 취급/보관/사용중 환경성 평가
- 악취 등 작업환경 평가
환경 인·허가 - 폐기물 재활용 신고
- 연료 변경 신고
-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신고
시험사용 - 공정 및 품질영향 실측
- 장기사용 여부 판단
적법 사용현황 실사
배출업체현황파악 - 배출업체 재활용 현황 실사.반입=>보관=>처리 공정 확인
- 행정처리절차 확인(인계서 등)
계약 - 배출자/운반자/처리자 3자 계약 실시
사후관리 - 반입폐기물 성상 및 품질(중금속 포함) 주기적 확인
- 이물질 혼입상태 확인

석탄재 재활용 배경

석탄재 재활용 배경

- 시멘트 제조시 알루미나(Al2O3) 성분이 필요하며, 과거에는 천연광물인 ‘점토’를 사용하였으나, ’90년대 들어 점토 광산개발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점토 성분과 유사한 화력발전소 석탄재를 부원료로 대체

국내 석탄재 재활용 현황

- 국내 시멘트사는 물류비용 부담으로 인근 발전소의 석탄재를 중심으로 재활용 (동해화력 석탄재 : 쌍용양회 및 삼표시멘트에서 주로 재활용)
- 2000년대 부터 레미콘사에서 시멘트 대체재로 가공 석탄재(정제회) 사용량이 증가하여 발전사에서 시멘트사에 공급 가능한 석탄재 감소 [레미콘사에 정제회 유상 판매 (약 30,000원/톤)]
- 국내 석탄재 용도별 재활용 현황



(단위 : 만톤)
구분발생량재활용량매립 등
소계레미콘시멘트원료기타(성토재 등)
2012년905(100%)720(80%)428(48%)129(14%)163(18%)185(20%)
석탄재 수입 현황

- 국내 발전사에서 시멘트사에 공급하는 물량 부족으로 일본으로부터 석탄재 수입
- 시멘트산업 석탄재 재활용 현황



(단위 : 천톤)
구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국내7627729181,2911,418
수입7629591,1111,2311,347
합계1,5541,7312,0292,5222,765

JTBC 보도내용에대하여

석탄재 하역작업에서 방사능 검사가 진행되지 않음에 대하여

석탄재 하역시 또는 공장 반입시 방사선 검사를 실시하고 있음
수입 석탄재 방사선 검사 실시 현황

-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2011. 4월부터 환경부 지시에 따라 시멘트사 수입 석탄재에 대해 방사선 자체 측정
- 2012.10월 환경부 수입 석탄재 방사능 관리 강화
 · 매 선박별로 석탄재 하역시 또는 공장반입시 시멘트사 방사선 측정
 · 측정결과 보고체계(시멘트업체 > 원주지방환경청 > 환경부) 유지
 · 원주지방환경청 수입 석탄재 주기적 샘플링을 통한 방사능 검사 실시



원전폭발 직후 후쿠시마 지역 석탄재 수입에 대하여

후쿠시마 원전폭발 직후 수입된 석탄재는 원전폭발 이전에 선적된 석탄재로 방사능 오염 우려 없음

- 2011. 3. 20일 수입된 석탄재는 3. 11일 선적 완료
 · 11. 3. 11 : 선적 완료후 쓰나미 발생으로 해치 닫고 앞바다 피난
 · 11. 3. 12 : 후쿠시마 원전 폭발
 · 11. 3. 14 : 쓰나미 경보 해제후 한국으로 출항
 · 11. 3. 19 : 한국 입항
 · 11. 3. 20 : 하역작업 종료
- 이후 후쿠시마 지역의 석탄재 수입은 중단하였으며, 현재 후쿠시마로 부터 200km 이내의 지역에서는 석탄재를 수입하지 않고 있음



2012.5월 일본산 석탄재에서 기준치 이상 세슘 검출에 대하여

2015.5월 원주지방환경청에서 실시한 수입 석탄재 방사능 조사결과 1건에서 세슘이 검출되었으나, 기준치 이상 검출된 것이 아니고 최소검출한계 수준의 극미량이 검출됨

- 12. 5. 21 실시한 석탄재 방사능 조사에서 세슘 검출
 · 분석결과 : 세슘 0.7±0.24 Bq/kg (*Bq : 베크렐)
 · 결과평가 : 식품공전 상의 방사능 기준 미만
- 식품공전 상의 방사능 기준



(단위 : Bq/kg)
분야별 방사성 핵종식품의약품안전처의 방사능 허용기준
영유아식품우유·유가공식품기타식품
요오드(I131)100100300
세슘(Cs134+Cs137)100 (당초 370이었으나, 일본 원전사고 이후 강화된 특별기준)
석탄재의 경우 일본에서도 방사능이 검출돼 논란

일본 시멘트 업체의 석탄재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 일본 시멘트업체의 석탄재 사용량은 2010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
 ·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해 화력발전소의 가동율이 향상되어 원전 사고 이후의 석탄재 사용은 더욱 증가
- 일본 시멘트업계 석탄재 사용 현황



(단위 : 천톤)
구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석탄재6,631천톤6,703천톤6,870천톤7,333천톤

- 일본에서의 석탄재 방사능 검출 논란에 대해서는 확인된바 없음



일본은 자국내 처리 문제로 돈을 주고 외국으로 반출에 대하여

일본도 석탄재는 자국내 재활용을 우선하고 있으며, 잉여량은 매립처리 비용(약 20만원/톤)을 주고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 한국으로 수출(방사능 검출로 인한 처리 곤란 때문이 아님)

- 국내 시멘트사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전인 2002년부터 석탄재 수입
 · 원전사고 이후 처리문제로 돈을 주고 한국에 수출한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님
- 일본 발전사들이 석탄재를 수출하는 이유는 자국내 재활용하고 남은 잉여량을 매립처리하는 것보다 경제적이기 때문이며, 석탄재 수출비용은 일본내 시멘트사 처리비용과는 비슷한 수준임
- 국내 시멘트사가 일본에서 석탄재를 수입하는 이유는 2000년대부터 레미콘사에서 시멘트 대체재로 석탄재(정제회) 사용이 증가하여 발전사에서 시멘트사에 공급 가능한 석탄재가 감소했기 때문임


방사능 오염 폐기물이 시멘트 및 각종 건축자재 포함 우려에 대하여

금번 보도된 kg 당 최대 20베크렐의 세슘 검출은 시멘트와는 상관이 없는 폐촉매에서 나온 것이며, 시멘트 산업에서 재활용되는 국내 및 수입 석탄재의 방사선량은 자연방사선량 수준임.

시멘트업계 석탄재 방사선 관리 현황

방사선 분석결과(2011.11 ~ 201.6 기준)

- 대기중 : 0.02 ~ 0.24 μ㏜/h (*μ㏜/h : 마이크로시버트)
- 수입 석탄재 : 0.02 ~ 0.26 μ㏜/h
- 국내 석탄재 : 0.06 ~ 0.22 μ㏜/h (2014.9월 측정치)
※ 수입 및 국내 석탄재의 방사선량은 자연방사선량(0.3μ㏜/h) 이내 수준



석탄재 방사능 관리 강화 방안

구분기존강화조치
자체 방사선 검사- 수입되는 선박별로 하역시 또는 공장반입시 검사- 공장 반입시 검사하는 업체 하역시 검사로 전환
공인기관 방사능 검사- 일부 업체에서 수입 석탄재에 대해 공인기관 방사능 검사 실시 - 모든 시멘트사 수입 석탄재에 대해
 공인기관 방사능 검사 실시
 · 대상 : 발전소별 수입 석탄제
 · 주기 : 분기별
- 시멘트 제품 공인기관 방사능 검사 실시(분기별)
자료 공개 - 방사능 검사결과 한국시멘트협회
 홈페이지 공개
 · 자체 방사선 검사 결과 : 월별
 · 공인기관 방사능 검사결과 : 분기별

폐열발전 개요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에서 9번째로 많은 우리나라는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로 경제규모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시멘트업계는 생산원가의 50퍼센트 이상을 에너지 비용으로 부담할 만큼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이기 때문에 교토의정서 발효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절감 및 친환경 경영 우수기업으로 손꼽히는 삼표시멘트는 2004년 폐열회수발전소를 설치하여 교토의정서에 적극 대응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삼표시멘트 삼척공장은 폐열을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폐열회수발전소를 건설하고 2004년 9월 1일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약 2백40억원을 투입하여 건설한 대형 폐열회수발전소는 고유가 시대의 에너지 절감과 친환경 시스템 구축을 위한 획기적인 시설로서, 시멘트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고온, 고압의 열풍(Hot Gas)을 폐열회수 보일러의 열원으로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폐열발전소를 통해 매시간 19.7MW의 전력을 생산하여 연간 약 13만MWh의 전력을 자체 공급하고 있으며, 이는 삼척공장 전체 전력 사용량 가운데 13.5퍼센트를 대체하는 것으로 연간 60억원의 전력 절감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특히 연간 10억원의 운영비를 감안하더라도 매년 50억원의 제조원가 절감으로 설비 가동 이후 2009년에는 투자비 전액을 회수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화력발전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지구온난화 물질인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감소시켜 환경보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설치 배경 및 목적

시멘트 총 제조원가 중 전력비 비중 : 20~25%
유가인상 등에 의한 원가(전력비)상승으로 에너지 절감방안 필요
20∼30%의 폐열이 대기로 배출 실정 - 폐열의 효율적 활용방안 필요

#6,7Kiln Grate Cooler에서 회수된 고온의 폐열로 보일러를 가동하여 생산된 증기를 이용 터빈발전기를 구동시켜 전력을 생산

- 에너지 절감방안 : 6,7호 키른 폐열회수발전소 설치
- 폐열회수발전에 의한 삼척공장 전력 대체 효과 : 13.5%

발전량19.7MW (자체소비 1.15MW)발전소운영비10억원/년
전력대체율13.5% (6,7호 소비전력의 48%)연간절감금액50억원/년
전력비절감액60억원/년

방사능 측정&성적서

업체명 : ㈜삼표시멘트 삼척공장
번호 제목 등록일 파일
4 방사능 성적서(부산 S/C 2종) 2025-04-11
3 방사능 성적서(포틀랜드시멘트 1종) 2025-01-20
2 방사능 성적서(광양 S/C 2종) 2023-07-17
1 수입석탄재방사능측정결과보고서 2022-09-0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