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저발열 시멘트]는 수화발열량이 일반시멘트와 비교하여 약 절반 수준으로,
수화열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이 문제가 되는 공사에 적합합니다. |
|
 |
콘크리트의 내외부 온도차가 20℃가 되는 1회 타설 두께는 1종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1m이면 한계상태이나, [저발열 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약 2m까지도 1회에 타설이 가능합니다. |
|
 |
염소이온, 황산염 등 각종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며,
해양구조물과 같이 화학물질의 침식이 예상되는 구조물에 적합합니다. |
|
 |
[저발열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28일강도 대비 재령3일에서 25%, 7일에서 50%정도 강도가 확보되며,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할 수 있는 재령28일에서는 압축강도가 동등해지며, 56일 이후는 훨씬 높아집니다. |
|
 |
[저발열 시멘트]는 초기 응결이 지연되나, 매스콘크리트 적용시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양생이 촉진되므로 거푸집 제거시기 등에 있어 일반시멘트와 차이가 없습니다. |
|
 |
[저발열 시멘트]는 일반시멘트에 비해 비중이 낮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 시멘트의 체적증가로 작업성이 우수합니다. |
|
 |
[저발열 시멘트]는 1종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나 슬래그시멘트에 비해 保水性이 뛰어나 블리딩이 현저하게 감소합니다. |
|
|
 |

|
 |
상압증기 양생만으로 재령1일에서 750kgf/㎠ 이상 발현할 수 있으므로 최단시간에 출하가 가능합니다. |
|
 |
상압증기양생만으로 단기간에 제품 출하가 가능하므로 재고 관리 및 공장부지의 이용, 동력에너지, 인건비 측면에서 효율적인 공장운영이 가능합니다. 또한 제품설계변경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므로 고객의 요구를 신속히 반영할 수있습니다.
고강도 파일의 경우 대구경파일의 제조시에는 autoclave 방식에 비하여 높은 생산성을 나타냅니다. |
|
 |
시그마1000을 사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 제품은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 해수 등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 및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현저히 향상됩니다. |
|
|